1과목 : TCP/IP
1. IP Header의 내용 중 TTL (Time To Live)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패킷은 네트워크상에서 영원히 존재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라우터의 한 홉(Hop)을 통과할 때마다 TTL 값이 '1'씩 감소한다.
3. Ping과 Tracert 유틸리티는 특정 호스트 컴퓨터에 접근을 시도하거나 그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추적할 때 TTL 값을 사용한다.
4. IP 패킷이 네트워크상에서 얼마동안 존재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정답 : 1
개념
- TTL(Time To Live)은 IP 패킷이 네트워크에서 영원히 떠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함 => 통과 가능한 라우터 수
- 초기 TTL 값은 보통 64 또는 128이며, 라우터를 1개 지날 때마다 1씩 감소
- TTL이 0이 되면 패킷은 폐기(Drop)되고, ICMP 메시지로 알림을 보냄
보기
3. Ping, Tracert는 TTL을 활용해 경로 추적/응답을 확인함
4. TTL은 패킷의 생존 시간(횟수)을 의미함
2. IP Address 중 Class가 다른 주소는?
1. 191.234.149.32
2. 198.236.115.33
3. 222.236.138.34
4. 196.236.126.35
정답 : 1
개념
- A 클래스 : 1 - 126
- B 클래스 : 128 - 191
- C 클래스 : 192 - 223
보기
1. B
2. C
3. C
4. C
3. C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고 할 때 가장 적당한 서브넷 마스크는?
1. 255.255.255.0
2. 255.255.255.192
3. 255.255.255.224
4. 255.255.255.240
정답 : 3
서브넷마스크는 공부 안 함 ㅅㄱ
4. IPv6 헤더 형식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그램의 생존 기간과 관련되는 필드는?
1. Version
2. Priority
3. Next Header
4. Hop Limit
정답 : 4
개념
- IPv6에서는 TTL 대신 Hop Limit 필드가 TTL 역할을 수행 => IPv4 TTL = IPv6 Hop Limit
- 라우터를 지날 때마다 1씩 감소 -> 0이 되면 폐기 (기능동일)
보기
1. Version : IP 버전 (6) 표시
2. Priority : 패킷 우선순위. 트래픽 우선처리 역할
3. Next Header : 다음 프로토콜 (IP/TCP/UDP 등)
4. Hop Limit = TTL 기능
5. TCP가 제공하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단 간 흐름 제어를 위해 동적 윈도우(Dynamic Sliding Window) 방식을 사용한다.
2. 한 번에 많은 데이터의 전송에 유리하기 때문에 화상 통신과 같은 실시간 통신에 사용된다.
3.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에러를 제어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4. Three 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정답 : 2
개념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연결지향, 신뢰성, 흐름 제어 제공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속도 중시
=> TCP : 신뢰성 중시 / UDP : 속도 중시
보기
- 2 : 실시간 통신은 오버헤드가 적은 UDP 사용
6. UD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항목은?
1. 확인 응답 포트 (Acknowledgment Number)
2. 소스 포트 (Source Port) 주소
3. 체크섬 (Checksum) 필드
4. 목적지 포트 (Destination Port) 주소
정답 : 1
개념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형, 신뢰성 없음 -> Ack 번호 없음
- UDP Header :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Length, Checksum
7. ICMP의 Message Type 필드의 유형과 질의 메시지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타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 - Echo Request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2. 4 - 흐름제어 및 폭주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3. 5 - 대체경로(Redirect)를 알리기 위해 라우터가 호스트에 사용한다.
4. 17 - Address Mask Request 장비의 서브넷 마스크를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정답 : 1
개념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Type
- 0 : Echo Reply - 핑 응답
- 3 : Destination Unreachable - 목적지 도달 불가 (라우팅 실패, 포트 없음)
- 4 : Source Quench (흐름 제어) - 트래픽 감속 요청 (deprecated)
- 5 : Redirect - 더 나은 라우터 경로 안내
- 8 : Echo Request - 핑 요청
- 9 : Router Advertisement - 라우터가 자신을 알릴 때 사용
- 10 : Router Solicitation - 호스트가 라우터를 찾을 때 사용
- 11 : Time Exceeded - TTL 초과 (traceroute에서 사용)
- 12 : Parameter Problem - 헤더에 잘못된 값이 있을 때
- 13 : Timestamp Request
- 14 : Timestamp Reply
- 17 : Address Mask Request
보기
- 1. 3 - Destination Unreachable / Echo Request - 8
8. 인터넷 전송 방식 중, 특정 호스트로부터 같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1. Unicast
2. Broadcast
3. Multicast
4. User Datagram Protocol
정답 : 2
개념
- Unicast : 1:1 전송
- Broadcast : 1:전체 전송 (같은 네트워크)
- Multicast : 1:그룹 전송
9. SNM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
2.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3.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4. RFC 1157에 규정되어 있다.
정답 : 1
개념
- SNMP :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SNMP는 UDP 사용
10. IPv6의 주소 표기법으로 올바른 것은?
1. 192.168.1.30
2. 3ffe:1900:4545:0003:0200:f8ff:ffff:1105
3. 00:A0:C3:4B:21:33
4. 0000:002A:0080:c703:3c75
정답 : 2
개념
- IPv6 : 8개 16진수 블록 (:로 구분)
보기
- 1 : IPv4
- 3 : MAC 주소
- 4 : 블록 개수 부족 (4개 더 필요)
11. OSI 7 계층의 통신 계층별 PDU (Protocol Data Unit)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1. 7계층 : 세그먼트
2. 4계층 : 패킷
3. 3계층 : 비트
4. 2계층 : 프레임
정답 : 4
개념
OSI 7 Layer
- 7 : Application / data
- 6 : Presentation / data
- 5 : Session / data
- 4 : Transport / segment
- 3 : Network / packet
- 2 : DataLink / frame
- 1 : Physical / bit
12. IPv4 Addres 중 네트워크 ID가 '127'로 시작하는 주소의 용도는?
1. 제한적 브로드캐스트 주소
2. B Class의 멀티캐스트 주소
3. C Class의 사설(Private) IP 주소
4. 루프백(Loopback) 주소
정답 : 4
개념
- 127.0.0.1 = 자기 자신
13. TCP/IP 프로토콜의 응용계층에서 제공하는 응용서비스 프로토콜로,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 전자우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1. SNMP
2. SMTP
3. VT
4. FTP
정답 : 2
개념
-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네트워크 관리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메일 전송
- VT (Virtual Terminal) : 가상 터미널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 전송
14. FT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FTP 세션이 설정되면 파일 송수신 기능을 사용해 원격 파일을 복사할 수 있다.
2.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FTP 서버가 자신의 Well-known 포트인 20번으로 FTP 클라이언트와 데이터 채널 연결을 시도한다.
3. 데이터 채널은 파일 송수신 요구가 발생할 때마다 새로 설정되고, 해당 파일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즉시 연결이 해제된다.
4.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인 파일 복사 작업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69번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정답 : 4
개념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TCP 21(제어)/20(데이터)
- TFTP (Trival File Transfer Protocol) : UDP 69
보기
- 4 : UDP 69 사용은 TFTP
15. DNS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NS는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 주소로 변환한다.
2. DNS는 여러 개의 IP 주소를 가진 도메인 이름에 대해 로드 밸런싱 기능을 제공, IP 주소를 반환하여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서버 부하를 분산시킨다.
3. 방화벽과 같은 보안 장비 중 하나다.
4. DNS는 이전에 접근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의 대응을 캐싱하여 저장한다.
정답 : 3
개념
- DNS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 -> IP 변환
보기
- 3 : 보안 장비 아님
16. 다음 중 (A), (B)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용어로 옳은 것은?
-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는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이동하고, 계층 이동마다 필요한 정보(헤더)가 추가되는데, 이를 (A)라고 한다.
- 데이터 수신 시, 데이터는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이동하고, 계층 이동마다 추가된 헤더를 읽고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 후 헤더를 제거하는데 이를 (B)라고 한다.
1. (A) 암호화, (B) 복호화
2. (A) 복호화, (B) 암호화
3. (A) 캡슐화, (B) 역캡슐화
4. (A) 역캡슐화, (B) 캡슐화
정답 : 3
개념
- 캡슐화 : 상위 -> 하위 (헤더 추가)
- 역캡슐화 : 하위 -> 상위 (헤더 제거)
17.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수신측의 논리주소 정보가 없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송한다.
2. 수신측 물리주소와 송신측 물리주소를 검사하여 자신에 대해 물리주소를 요구하는 경우라면 ARP를 전송한다.
3. 각 시스템에 Address Resolution Protocol Cache가 있고 Cache 정보를 보관한다.
4. H/W 주소 기반으로 IP 주소로 변환한다.
정답 : 3
개념
- ARP : IP -> MAC 변환
- RARP (Reverse ARP) : MAC -> IP
다음글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2025년 1회차 기출문제 (2과목)
2과목 : 네트워크 일반18. 데이터 흐름 제어(Flow Control)와 관련 없는 것은?1. Stop and Wait2. XON/XOFF3. Loop/Echo4. Sliding Window 더보기 정답: 3 개념- 흐름 제어(Flow Control)는 송신자가 너무 빠르게 데이터를
hyunjinius998.tistory.com
'License > 네트워크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2025년 1회차 기출문제 (4과목) (0) | 2025.06.30 |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2025년 1회차 기출문제 (3과목) (0) | 2025.06.29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2025년 1회차 기출문제 (2과목) (0)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