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딘의 괴발개발
블로그 이미지

Home

Write

Setting

About Me

오늘

어제

총

  • 분류 전체보기 (17)
    • ElasticSearch (0)
    • Nifi (0)
    • Project (0)
      • HarMe (0)
      • PIECE (0)
      • JobIs (0)
      • 모꼬지 (0)
    • Algorithm (5)
      • Boj (2)
      • Programmers (0)
      • SWEA (0)
      • Softeer (2)
      • Codeup (0)
      • Ref (1)
    • Computer Science (0)
    • Language (6)
      • JavaScript (5)
      • Java (0)
      • SQL (0)
      • Python (0)
      • C (0)
      • TypeScript (1)
    • Framework (1)
      • Spring (0)
      • Hadoop (0)
      • Vue3 (0)
      • React (1)
    • License (1)
      • SQLD (0)
      • 정보처리기사 (0)
      • Topcit (0)
      • 리눅스마스터 (0)
      • 네트워크관리사 (1)
    • Jira (2)
    • 후기 (2)
Dark
no image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2025년 02월 23일 1회차 기출문제 (1과목)
1과목 : TCP/IP1. IP Header의 내용 중 TTL (Time To Live)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1. IP 패킷은 네트워크상에서 영원히 존재할 수 있다.2. 일반적으로 라우터의 한 홉(Hop)을 통과할 때마다 TTL 값이 '1'씩 감소한다.3. Ping과 Tracert 유틸리티는 특정 호스트 컴퓨터에 접근을 시도하거나 그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추적할 때 TTL 값을 사용한다.4. IP 패킷이 네트워크상에서 얼마동안 존재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더보기정답 : 1 개념- TTL(Time To Live)은 IP 패킷이 네트워크에서 영원히 떠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함 => 통과 가능한 라우터 수- 초기 TTL 값은 보통 64 또는 128이며, 라우터를 1개 지날 때마다 1씩 ..
2025.05.25
License/네트워크관리사
Prev 1 Next
uTube· Designed By ushin20

티스토리툴바